728x90
반응형

피드백 3

많은 데모곡(Feat. 명절)

작곡가로서 뜨기 위한 발판. 많은 데모곡을 만들면 많은 시행착오를 겪는다. 그리고 피드백을 객관적으로 받으면서 그 과정에서 부족한 점을 발견하고 더 많이 공부하고 이 과정에서 작곡 실력이 자연스럽게 늘고 곡이 디테일한 부분에서 다듬어지게 된다. 난 명절 때 명절약속과 별개로 이 부분을 자체 훈련할 계획이다. 여하튼 많은 관심 주신 분께 감사드립니다. 명절 잘 보내세요!

카테고리 없음 2023.09.27

작곡이 어려운 이유(Ep.7 확률게임)

작곡이 어려운 이유 Ep.7 확률게임 작곡을 굳이 시험 준비에 비교하자면 객관식이 아닌, 주관식 서술형 문제로비교할 수 있겠다. 당일 바로 채점이 불가하고 감으로 포인트들 (예를들면 악기구성이나 화성조화 연결음이 자연스러운지 지난 피드백. 공부로치면 지난 모의고사 답안-피드백으로 대충 점수 가늠해봄. 그러나 뜯어보면 실제 시험점수는 그것보다 모자란 경우도 있고 운이 좋게 커트라인에 걸쳐 합격했지만 내 기대와는 다르게 높은 점수는 아니였던 경우도 있고.) 고치면 고칠수록 일정 수준까지 올라가다 오히려 논점이 흐려지거나 곡의 구성이 달라져 평가가 내러가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땐 선택지가 2가지. 만점이나 고득점을 바라보지 않고 거기서 멈추던지, 만점이나 고득점을 바라보는 대신에 곡이 망할 리스크를 택하던지...

카테고리 없음 2023.09.18

작곡이 어려운 이유 (Ep.6 열심히만 한다면 작곡은 오를까?)

작곡이 어려운 이유 Ep.6 열심히만 한다면 작곡은 오를까? 이 질문과 같다. 열심히만 하면 누구나 의대 가나요? 사람의 기본 사고력, 문제풀이 스킬 의지력과 더불어 수능날 컨디션에따라 3~4문제 더틀려서 서울대의대가 지방의대가 되고 지방의대급이 연고대를 가고 연고대급인 학생이 중경외시를 가고 건동홍급이 인서울 하위권으로 다운되고 그런 경우가 비일비재. 그 학생들이 당연 열심히 안했을까? 아니다. 그리고 재수 삼수를 해도 방법이 잘못되면 오히려 성적이 떨어진다. 성적이 설사 유지된다 쳐도 기회비용이 있기에 손해다.(나도 위 케이스를 겪어본 기경험자이다.) 모의고사를 많이 풀어보는 것도 수능날 제실력대로 긴장하지 않고 점수 나오게 하기 위한것 처럼 난 매주 곡을 만들고 가족한테 컨펌을 받는다. 당연 결과는..

카테고리 없음 2023.09.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