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42

많은 데모곡(Feat. 명절)

작곡가로서 뜨기 위한 발판. 많은 데모곡을 만들면 많은 시행착오를 겪는다. 그리고 피드백을 객관적으로 받으면서 그 과정에서 부족한 점을 발견하고 더 많이 공부하고 이 과정에서 작곡 실력이 자연스럽게 늘고 곡이 디테일한 부분에서 다듬어지게 된다. 난 명절 때 명절약속과 별개로 이 부분을 자체 훈련할 계획이다. 여하튼 많은 관심 주신 분께 감사드립니다. 명절 잘 보내세요!

카테고리 없음 2023.09.27

큐베이스 익히기(feat. 음악인의 고충)

사실.. 이런 포스팅을 하는 것이 전문성이 부족해 보일 수도 있다고 생각이 들지만, 어쩌면, 나와 같은 고민을 하는 수많은 무명 뮤지션들에게 힘이 되고 공감이 될 수도 있어 글을 작성한다. 사실.. 음악을 하고 싶지만.. 시간과 돈만 쓰고 많은 시간을 투자했는데 실력은 늘지 않아 접는 경우가 99프로가 된다고 생각한다. 사실.. 어렸을 때야 나이가 어리니.. 여러 가지를 해 보면 되지 라고 부모님이나 주변에서 위안을 줄 수 있지만.. 20대 초반이 지난다면.. 현실적인 문제가 부딪치게 되므로 사실 쓸데없는 시간 낭비 취급을 받기 쉽다.(물론. 여유가 되면 취미로 하는 거야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대한민국에 돈 걱정 없이 그런 사람이 몇이나 되겠는가?) 여하튼 강사가 된다는 길은 쉽지가 않다. 모든 질문에 대..

카테고리 없음 2023.09.26

열심히만 한다고 실력이 오를까? (작곡 칼럼)

열심히만 한다고 작곡이 오를까? 기본적으로 곡의 뼈대를 익히고 레퍼런스를 잡고(레퍼런스란, 아파트로 치면 페인트라고 해야 하나.. 여하튼 코드구성이 레퍼런스일 수도 있고.. 잘못 잡으면 표절이 되어버리니 이것도 유의해야 한다) 악기구성도 잘 잡아야 하고(이건.. 많이 분석하면서 들으면 는다. 단, 분석 하면서!!!) 그다음에 벨로시티(소리) Velocity 조절도 악기마다 해야 한다. 구체적인 피드백으로는 FX이펙트와 악기의 남용(조잡한 곡은 안쓰느니만 못하다. 차라리 단순하고 좋은 곡이 평이 더 좋다.) 조절하는 문제도 있고 길이 문제도 있고.. 원하는 느낌이랑 다른 방향의 곡이 만들어지는 경우(이는 유튜브에 혼자 올린다면 문제가 안되지만,, 의뢰를 받아 제작했을 때에는 큰 문제가 된다..) 여하튼 이..

카테고리 없음 2023.09.22

FL STUDIO만한 기본 내장악기가 풍부한 DAW는 없다..

요즘 밴드노래랑 JPOP 관련 노래 오케스트라 노래들을 같이 제작하고 있는데 해외 작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채널들도 최근에 많이 구독하다 보니, 확실히 해외채널의 경우 큐베이스나 로직보다도 FL STUDIO로 전문적인 작곡이 정말 많다고 느낀다. 그 이유를 몇 가지 간단하게 분석하자면 내장악기가 훌륭하다(큐베이스12도 다운받아 가끔 쓰는데, 큐베이스 12의 경우 기본 내장악기 할리온 소닉 그루브 드럼 외에는 전부 다 구매해야 함. 콘탁같은 것을 가져오는 것 외에는 안되는데 콘탁은 FL로도 가동된다. 즉 경쟁력이 FL이 더 낫다는 의미) 특히 기본 드럼소리 등은 스플라이스에서나 볼 수 있는 여러 샘플들이 있다. 채널 설정이랑 노트 찍기가 큐베이스보다 더 직관적이다. 물론, 대중가요를 한다면 오디오 인터페이..

카테고리 없음 2023.09.19

작곡이 어려운 이유(Ep.7 확률게임)

작곡이 어려운 이유 Ep.7 확률게임 작곡을 굳이 시험 준비에 비교하자면 객관식이 아닌, 주관식 서술형 문제로비교할 수 있겠다. 당일 바로 채점이 불가하고 감으로 포인트들 (예를들면 악기구성이나 화성조화 연결음이 자연스러운지 지난 피드백. 공부로치면 지난 모의고사 답안-피드백으로 대충 점수 가늠해봄. 그러나 뜯어보면 실제 시험점수는 그것보다 모자란 경우도 있고 운이 좋게 커트라인에 걸쳐 합격했지만 내 기대와는 다르게 높은 점수는 아니였던 경우도 있고.) 고치면 고칠수록 일정 수준까지 올라가다 오히려 논점이 흐려지거나 곡의 구성이 달라져 평가가 내러가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땐 선택지가 2가지. 만점이나 고득점을 바라보지 않고 거기서 멈추던지, 만점이나 고득점을 바라보는 대신에 곡이 망할 리스크를 택하던지...

카테고리 없음 2023.09.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