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42

작곡이 어려운 이유 (Ep.6 열심히만 한다면 작곡은 오를까?)

작곡이 어려운 이유 Ep.6 열심히만 한다면 작곡은 오를까? 이 질문과 같다. 열심히만 하면 누구나 의대 가나요? 사람의 기본 사고력, 문제풀이 스킬 의지력과 더불어 수능날 컨디션에따라 3~4문제 더틀려서 서울대의대가 지방의대가 되고 지방의대급이 연고대를 가고 연고대급인 학생이 중경외시를 가고 건동홍급이 인서울 하위권으로 다운되고 그런 경우가 비일비재. 그 학생들이 당연 열심히 안했을까? 아니다. 그리고 재수 삼수를 해도 방법이 잘못되면 오히려 성적이 떨어진다. 성적이 설사 유지된다 쳐도 기회비용이 있기에 손해다.(나도 위 케이스를 겪어본 기경험자이다.) 모의고사를 많이 풀어보는 것도 수능날 제실력대로 긴장하지 않고 점수 나오게 하기 위한것 처럼 난 매주 곡을 만들고 가족한테 컨펌을 받는다. 당연 결과는..

카테고리 없음 2023.09.17

오케스트라 곡 만들다 중단.

오케스트라 곡 만들다 중단. 콘탁이라는 가상악기로 만든 첫 곡. 스타트는 화려했지만, 일단 곡에 대한 피드백이 너무 뻔한 멜로디라 하여 중단하기로 결정하였다. 역시 작곡은 쉽지 않다.. 계속 콘탁 연구중인데 다운로드해서 더 발전하는 작곡가가 되어야지. 화이팅.(궁금해할 분이 있을 것 같아서 23초 분량 첨부함. 사실 더 이어 제작할 지는 미지수)

카테고리 없음 2023.09.16

작곡이 어려운 이유 (Ep.5 허세? 허수?)

작곡이 어려운 이유 Ep.5 허세? 허수? 나는 개인적으로 감성사운드 채널 작곡가처럼 성공하는 게 목표다(가장 최근 영상보면 매출 60억이라고 하던데 여하튼 음악으로 성공한 대표 케이스) 근데 문제는 그 채널 수강생들 댓글로 추정.(실제 난 수업을 들은 적은 없다) 쓸데없는 가상악기 및 음악용어를 많이 안다고 부심을 부리는 댓글을 종종 보면 불편하다. 사실 성공은 사업주인 저 대표 강사 외 신사동호랭이같은 탑급 작곡 강사가 가져가는거지 수강생이 가져가는 게 아니고, 수강생은 단지 성공의 수단으로 강사를 이용하는 것이지, 절대 도구로 부심을 부려서는 안된다. 실제 취업시험 준비했을 때도 불합격하는 대표 케이스가 강사 막 바꾸고 같은책 회독 및 정독하지않고 교재탓하고 책 강사를 부화뇌동하게 따라가는 행위인데..

카테고리 없음 2023.09.15

작곡이 어려운 이유 (Ep.4 Copyright)

작곡이 어려운 이유 Ep.4 Copyright 항상 작곡하고 체크하는 것이 저작권. 대한민국 곡들의 대부분이 비슷한 코드진행을 쓰고(머니코드, 캐논코드 얘기가 음악인들 사이에 괜히 나오는 게 아니다. 렛잇비, 렛잇고, 라이온킹 ost등 무수히 많은 유명 머니코드 곡들이 있다.) 최근에 뉴스들에서도 많은 것들이 '표절시비' 이를 피해가기 위해선, 기술이 필요한데 1.악기의 구성 조합을 완전히 바꾼다.(미디악기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조합들에대한 경험들이 필요. 물론 이 경우에도 멜로디 4마디 이상이 같으면 안되니 3마디만 같게가고 전개가 달라지는 꼼수 스킬을 구사하는 작곡가도 많다.) 2.코드는 동일하되 멜로디를 바꾼다.(나의 경우엔 유명 곡들의 박자만 주로 참고하고 멜로디를 아예 내식대로 바꾼다. 물론 화..

카테고리 없음 2023.09.14

작곡이 어려운 이유(Ep.3 듣고싶은 노래≠내 노래?)

작곡이 어려운 이유 Ep.3 듣고싶은 노래≠내 노래? 9급 공무원시험 평균 준비기간: 2년 6개월 수능 평균 준비기간: 2년 로스쿨 재학기간: 3년 이외 각종 전문직 평균 수험기간: 3년~4년 의대: 6년 공부쪽 전문직이나 시험들은 수험기간이 길고 어렵다. 그리고 소수만 원하는 목표를 달성한다. 그러나, 작곡은 누구나 취미삼아 해볼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 '자신만의 영감'에 빠져 곡을 쓰는 경우가 많다. 이는 just 취미인 경우고. 직업적인 부분으로 들어가면, 작곡의 경우에도 피드백이 없으면 발전이 없다. 피드백을 받는 이유는 실력, 기교때문도 있지만, 대중이 좋아하는 취향의 곡에 부합하는지? 를 보기 위해서다. 내 곡이 아무리 좋아도 음악인들한테만 좋다면.. 그 곡은 마이너하고 상업성이 없는 데 반해 ..

카테고리 없음 2023.09.14

뉴에이지 노래 특성(Feat. Kontakt)

뉴에이지 노래는 대중가요(kpop) 등과는 구분되는 분명한 특징이 있다. 1. 탑라인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다.(여기서 역할은 악기선택 등을 의미) 물론, 대중가요에서도 멜로디는 중요하지만 가창력 등으로 충분히 상쇄가 되는 반면에(불후의 명곡이나 복면가왕같은 프로가 엄청 떳던 이유가 그 사람의 가창력이라는 것을 생각해보자) 뉴에이지 노래는 탑라인의 악기선택, 멜로디선택이 매우매우 중요하다(이 악기 자체가 가창력 좋은 가수의 역할을 하기에) 2. 피아노만 단순하게 쓰는 뉴에이지는 저평가받는 게 업계의 현실. 사실, 간단한 피아노곡은 음악에 조금만 관심이 있다면 초등학생도 만들 수 있다. 그만큼 역으로 보면 뉴에이지만으로 대중한테 내가 이만큼 작곡실력을 갖고 있다고 어필하기가 매우 매우 힘들다. 그만큼 레슨..

카테고리 없음 2023.09.14

작곡이 어려운 이유(Ep.2 작곡가=백수?)

사실 난 지금도 직장을 다니면서 돈을 안정적으로 더 버는 법을 고민중이다. 일단 본업이 없다면 작곡가=백수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며 작곡가로 월 1000만원을 번다 한들(이는 유튜버로 월 1000만원 벌어도 밸붕 후자일 것이다 실제 설문조사한 모 유튜버의 영상도 있음.) 월급 200만원 8급 공무원보다 당연히 인식은 좋지 않다. 작곡가는 인식이 프리랜서라는 게 강하게 있으며 운이좋아 게임회사 등에 근로자로 사운드팀에 취업했다고 한들, 저작권 귀속, 본인 유튜브 등에 홍보 금지(보통 비밀유지조항 등을 계약서상에 넣는다.)를 붙여 커리어향상에 독을 만든다. 그리고 저런 중소기업도 1명 뽑으면 보통 70명의 예술가, 실용음악과 졸업자들이 지원한다. 사람인 잡코리아기준. 어디 소속되지않고 열심히 카페나 유튜브에 올..

카테고리 없음 2023.09.13

작곡이 어려운 이유(ep.1 생각보다 많은 이펙트들이 들어간다.)

작곡의 구성원리는 생각보다 간단하다. 1. 리드(피아노 보컬 등 메인멜로디라고 한다.) 2. 베이스(밑 화음 포함. 곡의 뼈대라고 한다.) 3. 드럼(킥 스네어 등 포함) 4. 신디사이저(화음을 웅장하게해주는 사운드 예를들면 바이올린이라던지 피리소리 등) 자. 이 4요소만 조화롭게 맞춘다. 작곡 완성. 얼마나 간단한가? 이는 연애하는 법: 맘에드는 여자한테 다가간다. 좋아한다고 말한다. 받아주면 골인. 위와같은 두루뭉실한 이상적인 설명밖에 안될 것이다.(그때 무드, 매력포인트, 화술, 외모, 능력, 상대방의 이상형 등이 다 다를텐데 그게 될거같으면 세상사람들이 다 연애중이고 결혼을 했겠지..) 이번편은 리드만 간단히 언급하자면 0편에서 FLEX Grand piano를 썼다 치면 과연 그 피아노만 쓸까? ..

카테고리 없음 2023.09.12

20살과 30살의 차이

20살과 30살 20살 때는 '내가 무엇을 할 꺼야(보통 장래희망)' 라고 말 하면 무엇이든 인정받는다.(그것이 예술가가 되었든 사업이 되었든 뭐든지 간에) 30살 때는 번듯한 직업이 없이 '내가 무엇을 할 꺼야(작곡과 같은 예체능 포함)'를 말한다면 디폴트값을 적용받는다(어른들의 인식이라던지 등등) 20살 때는 내가 모태솔로라 해도 '젊어서 그렇지'라는 다소 희망적인 말을 받고 연애에 서투르고 이성이랑 말을 잘 못붙여도(하다못해 매일 lol과 같은 게임을 해도) 어리니까 그렇지 하고 이해받는다. 30살 때는 모태솔로라고 하면 '어딘가 많이 부족한 사람'이라는 인식을 받고, 연애에 서투르고 이성이랑 말을 잘 못붙이면 디폴트값을 받는다.(결혼을 했을 경우 제외. 그러나, 결혼한 사람은 아직 이나이에도 많지..

카테고리 없음 2023.09.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