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작곡칼럼 5

열심히만 한다고 실력이 오를까? (작곡 칼럼)

열심히만 한다고 작곡이 오를까? 기본적으로 곡의 뼈대를 익히고 레퍼런스를 잡고(레퍼런스란, 아파트로 치면 페인트라고 해야 하나.. 여하튼 코드구성이 레퍼런스일 수도 있고.. 잘못 잡으면 표절이 되어버리니 이것도 유의해야 한다) 악기구성도 잘 잡아야 하고(이건.. 많이 분석하면서 들으면 는다. 단, 분석 하면서!!!) 그다음에 벨로시티(소리) Velocity 조절도 악기마다 해야 한다. 구체적인 피드백으로는 FX이펙트와 악기의 남용(조잡한 곡은 안쓰느니만 못하다. 차라리 단순하고 좋은 곡이 평이 더 좋다.) 조절하는 문제도 있고 길이 문제도 있고.. 원하는 느낌이랑 다른 방향의 곡이 만들어지는 경우(이는 유튜브에 혼자 올린다면 문제가 안되지만,, 의뢰를 받아 제작했을 때에는 큰 문제가 된다..) 여하튼 이..

카테고리 없음 2023.09.22

작곡이 어려운 이유(Ep.7 확률게임)

작곡이 어려운 이유 Ep.7 확률게임 작곡을 굳이 시험 준비에 비교하자면 객관식이 아닌, 주관식 서술형 문제로비교할 수 있겠다. 당일 바로 채점이 불가하고 감으로 포인트들 (예를들면 악기구성이나 화성조화 연결음이 자연스러운지 지난 피드백. 공부로치면 지난 모의고사 답안-피드백으로 대충 점수 가늠해봄. 그러나 뜯어보면 실제 시험점수는 그것보다 모자란 경우도 있고 운이 좋게 커트라인에 걸쳐 합격했지만 내 기대와는 다르게 높은 점수는 아니였던 경우도 있고.) 고치면 고칠수록 일정 수준까지 올라가다 오히려 논점이 흐려지거나 곡의 구성이 달라져 평가가 내러가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땐 선택지가 2가지. 만점이나 고득점을 바라보지 않고 거기서 멈추던지, 만점이나 고득점을 바라보는 대신에 곡이 망할 리스크를 택하던지...

카테고리 없음 2023.09.18

작곡이 어려운 이유 (Ep.5 허세? 허수?)

작곡이 어려운 이유 Ep.5 허세? 허수? 나는 개인적으로 감성사운드 채널 작곡가처럼 성공하는 게 목표다(가장 최근 영상보면 매출 60억이라고 하던데 여하튼 음악으로 성공한 대표 케이스) 근데 문제는 그 채널 수강생들 댓글로 추정.(실제 난 수업을 들은 적은 없다) 쓸데없는 가상악기 및 음악용어를 많이 안다고 부심을 부리는 댓글을 종종 보면 불편하다. 사실 성공은 사업주인 저 대표 강사 외 신사동호랭이같은 탑급 작곡 강사가 가져가는거지 수강생이 가져가는 게 아니고, 수강생은 단지 성공의 수단으로 강사를 이용하는 것이지, 절대 도구로 부심을 부려서는 안된다. 실제 취업시험 준비했을 때도 불합격하는 대표 케이스가 강사 막 바꾸고 같은책 회독 및 정독하지않고 교재탓하고 책 강사를 부화뇌동하게 따라가는 행위인데..

카테고리 없음 2023.09.15

뉴에이지 노래 특성(Feat. Kontakt)

뉴에이지 노래는 대중가요(kpop) 등과는 구분되는 분명한 특징이 있다. 1. 탑라인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다.(여기서 역할은 악기선택 등을 의미) 물론, 대중가요에서도 멜로디는 중요하지만 가창력 등으로 충분히 상쇄가 되는 반면에(불후의 명곡이나 복면가왕같은 프로가 엄청 떳던 이유가 그 사람의 가창력이라는 것을 생각해보자) 뉴에이지 노래는 탑라인의 악기선택, 멜로디선택이 매우매우 중요하다(이 악기 자체가 가창력 좋은 가수의 역할을 하기에) 2. 피아노만 단순하게 쓰는 뉴에이지는 저평가받는 게 업계의 현실. 사실, 간단한 피아노곡은 음악에 조금만 관심이 있다면 초등학생도 만들 수 있다. 그만큼 역으로 보면 뉴에이지만으로 대중한테 내가 이만큼 작곡실력을 갖고 있다고 어필하기가 매우 매우 힘들다. 그만큼 레슨..

카테고리 없음 2023.09.14

작곡이 어려운 이유(ep.1 생각보다 많은 이펙트들이 들어간다.)

작곡의 구성원리는 생각보다 간단하다. 1. 리드(피아노 보컬 등 메인멜로디라고 한다.) 2. 베이스(밑 화음 포함. 곡의 뼈대라고 한다.) 3. 드럼(킥 스네어 등 포함) 4. 신디사이저(화음을 웅장하게해주는 사운드 예를들면 바이올린이라던지 피리소리 등) 자. 이 4요소만 조화롭게 맞춘다. 작곡 완성. 얼마나 간단한가? 이는 연애하는 법: 맘에드는 여자한테 다가간다. 좋아한다고 말한다. 받아주면 골인. 위와같은 두루뭉실한 이상적인 설명밖에 안될 것이다.(그때 무드, 매력포인트, 화술, 외모, 능력, 상대방의 이상형 등이 다 다를텐데 그게 될거같으면 세상사람들이 다 연애중이고 결혼을 했겠지..) 이번편은 리드만 간단히 언급하자면 0편에서 FLEX Grand piano를 썼다 치면 과연 그 피아노만 쓸까? ..

카테고리 없음 2023.09.12
728x90
반응형